시작하기
Fetch API를 사용해서 프론트에 입력된 데이터를 서버에 보내서 데이터를 수정하게 하는 기능을 만드는 중이다. where절에 userCode가 들어가야지 데이터 조건을 통과해 수정이 되는 쿼리인데, 쿼리가 오류없이 잘 돌았는데도 데이터 수정이 안되는 상황이 생겼다. 그래서 일단 프론트의 값을 다 받아오는지 확이하려고 log.info 로 찍어봤더니 userCode 값을 가져오지 못하고 있었다... 알고보니 원래 나는 <p> 태그에 userCode를 value 속성에 정의해서 js에서 받아서 서버로 보내려고 했는데 p태그는 valuer 속성을 사용하는게 안됐던 것이었다... 그래서 input 태그로 바꾸고 value 에 정의를 하니 값이 바로 들어가졌다..! ( input, textarea 같은 폼 요소들은 주로 값을 입력받기 위한 value 속성을 사용한다.)
00 INFO 34660 --- [nio-8080-exec-8] c.e.t.Controller.MyPageController : userCode = 28
<p>태그
p 태그는 문단을 표시하는 요소입니다. 값이 아니라 텍스트를 담기 위해 사용됩니다. value 속성은 폼 입력 요소에만 사용되며, p 태그는 textContent 또는 innerText로 텍스트를 가져오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.
<input> 태그와 value 속성
input 태그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태그입니다. value 속성은 그 입력된 값을 나타냅니다.
textContent vs. innerText:
- textContent: 해당 태그 내부에 있는 모든 텍스트를 가져옵니다. 숨겨진 텍스트도 포함합니다.
- innerText: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만 가져옵니다. 숨겨진 텍스트는 제외됩니다.
결론
- HTML 요소의 목적: <input>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 사용되고, <p>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.
- JavaScript에서 요소 값 가져오기: 각 요소의 역할에 맞는 속성을 사용하여 값을 가져와야 합니다 (value vs textContent).
기초가 부족하니.. 공부 열심히 하자
'Front-End >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rgin 과 gap (1) | 2024.09.29 |
---|---|
float flex gird 태그 (1) | 2024.09.25 |
[Node.js] 버전 중요성 (0) | 2024.06.12 |
[Front-end] 모듈 번들 (0) | 2024.06.09 |
DOM 이란?? (0) | 2024.04.19 |